DRAGON VILLAGE

  • 스토어

  • 틱톡

  • 플러스친구

  • 유튜브

  • 인스타그램

자유게시판

  • 드래곤빌리지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유저 프로필 사진

제발 듭1 초심 되찾으세요;

32 ʚ달빛속ɞ시온
  • 조회수479
  • 작성일2021.09.14
지금을 포함한 하브는 게임 회사가 하면 안 되는 일을 뻔뻔스럽게 대놓고 하고 있으며, 유저 기만행위를 수천번도 넘을 만큼 많이 봤습니다. 그걸 순서로 분배해서 지적하도록 하겠습니다.

1. 게임 내에서의 셀 수 없을 만큼의 에러들.
아르하의 입구 내에서 유저 이름과 드래곤들의 배치나 종류가 변경된 것.
이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다며 갑작스럽게 자동 로그아웃 시킨 것.
(이거 때문에 제 아이디 하나 날아갔습니다. 문의를 해도 듣는 척 하나 하지 않더군요.) 
게임 자동전투를 틀었을 때, 유지하지 못하고, 갑작스럽게 팅기는 것 등등.

이러한 인겜 버그들은 유저분들이 더 빠르게 찾아내면서, 고치려고 수많은 문의들이 있었습니다. 다만, 고치지 않았죠. 왜일까요? 
"사람은 바뀌지 않으니까." 
수많은 유저분들이 보고해서 고치고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 게임 운영의 정석 아닙니까? 고치려 마음 먹으면 작심삼일. 이대로 유저의 말을 무시하는 꼴 나다간, 게임 운영할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 걸로 알겠습니다.
최대한 인겜 내의 오류를 고치기라도 하세요.

2. 광고 문제.
계정이 많은 분들 중, 한 개의 폰으로 로그아웃을 수없이 하여 키우는 분들이 많이 보이곤 하십니다. 
근데, 이건 전혀 문제되지 않아요. 그러나, 광고를 봤을 때.
이건 문제점 중에서 큰 부분에 해당되는 것. 왜일까요?

그것은 양산형 짱깨겜과 성욕을 유발하며 성매매적인 광고들이 여러종류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모르는 분들을 위해, 몇가지 소개하겠습니다.

타겜 광고를 베낀 양산형 짱깨겜의 예) 정마담, 기적의 검, 트로이 등등
성매매적이며 성욕을 유발하는 앱의 예) 데이톡, 케이메이트, 꿀물tv 등등 몇가지 소개팅 앱들.

다른 광고들은 정상적입니다. 봐도 문제 없어요. 그냥 게임 홍보하는구나, 라고 이해가 됩니다. 

근데, 듭 유저 분들 중에서, 여성분이시나, 나이가 어리신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도 불과하고, 광고를 그대로 받아서 광고 시청 시에, 그걸 본다고 그 유저 입장에서 생각해보세요. 전혀 좋지 않습니다;;

구글 쪽에서 낸 광고들로 보여주는 것은 알겠습니다만, 제발. 분류는 해주십시오.

3. 자작룡 관련된 저작권 문제.

이건 사실 처음엔 몰랐습니다. 많은 분들의 자작룡을 그대로 받아서 나타내고, 실제로 인겜화된 용으로 대처되지 않았던 자작룡들은 하겠다고 보류 서류에 처박아두고, 실제로 많은 분들의 자작룡을 무시하는 행위 같이 보였습니다.

자작룡이란 것은, 실제적으로 많은 분들이 펜이나 연필로 그리고, 정성과 함께 만든 하나의 가치있는 작품들입니다.

근데 의견 반영 하나 하지 않고, 이대로, 많은 자작룡 당선자들의 마음을 썩이고 있습니다.

이번 자작룡 이벤트 보면서 매우 크게 실망했습니다.
정확한 사이즈로 손그림으로 그리는 분들은 참여 실격이니 빠져라 이건가요?

많은 분들의 자작룡이 괜히 올리신 것인 줄 아십니까? 정성을 다해서 그린 작품을 망작으로 가치를 썩혀두는 것 같습니다.

자작룡 가작만 받으니까 지겨웠었는데, 이렇게 또 저작권을 권리 하나처럼 여기지 않고 있는 모습에 매우 크게 실망했습니다.

4. 이벤에 관해서

여름 이벤을 하나 열지 않고, 자신들의 돈 이익을 챙겨두기 위해 패키지만 팔고. 전에는 얼음 이벤이라도 했었었는데, 이번엔, 이벤 조차도 열지 않고, 특히, 무과금 유저분들의 흥을 전부 놓게 만들었습니다.

게임의 주된 흥거리는 이벤입니다. 
이대로 이벤을 아주 가끔 개최한다면, 질린다. 재미없다. 이런 펑이 날라오는 게 당연한거죠.

결국 무과금 유저분들이나 초보분들은, 흥 놓고 떠납니다.
재미가 없다는 평가를 받는 이유를, 제발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5. 성프 문제.

1달에 최소 1마리는 등급을 업그레이드 시켜서, 용의 가치와 희귀도가 극대화되는, 아주 기대를 놓치 않게 하는 아주 좋은 프로젝트라 생각하긴 합니다만,

저번달과 이번달엔 하나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대로 가치를 떨어뜨리면 인기를 떨어뜨리는 것이며, 자폭하는 겁니다.

분명, 컬랙션을 열었던 이유도, 드래곤들을 많이 사랑해달라는 이유로 여셨는데, 성프가 개최되지 않으면, 그대로 인기가 추락하는 용들이 점점 늘어납니다.

부지런하게, 유저를 위해, 드래곤의 인기를 위해, 성프는 놓치 않음 좋겠습니다.

6. 드래곤 일러스트에 관한 문제.

이것은 최근 일어난 문제입니다. 폴투누스 때부터 시작됐습니다.
크기만 커지고, 생김새를 보면, 거의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일러스트 팀들이 슈퍼 마리오처럼 크기만 키우고 옛다 신규 용이다 하는 기분입니다. 

듭1은 단순하지만 귀여운 매력이 있었으나, 지금은 크기 변화로, 인기가 더욱 추락하는 추세입니다.

이렇게 되면, 신규 용들에 대한 생각이 이럴 수밖에 없습니다.
아, 크기만 커지겠구나. 라는 생각만 드는 게 참 까마득합니다.

7. 언행불일치.

전에 기억나실지는 모르겠지만, 홈피 차단 기능을 만든다고 개발자 노트를 썼지만, 그게 거의 몇개월 째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문의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겠다는 말이, 매크로(계속 같은 응답만 하는)다운 문장을 써서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환불에 관한 이야기인데, 플레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라는 응답이 나오면, 유저 쪽 기분 상태에선 어떨 거 같다 생각하셨으면 좋겠습니다.

8. 신게임 개발에만 신경쓰고, 이전 게임은 손도 안 댐.

아마 접속 불가 현상도, 이것과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요, 배틀스쿨, 몬스터월드, 고대신룡과 같은 하브 게임들이 망했던 이유도 이겁니다.

개발에 손을 안 쓰면, 인기는 추락하는 것입니다. 
듭1이 지금 이 상태입니다. 

듭뉴나 듭X 그리고 새로 나오는 게임(이름은 기억 안 나네여...)보단 
드래곤빌리지 1 하나에 집중해서, 잘 운영해도, 거의 큰 인생승리가 가능할 거라 생각했으나, 지금은 듭뉴에 신경쓰는 것이 듭1의 유저분들이 나가는 이유 또한 이거라 생각합니다. (결코, 듭뉴를 욕하는 것은 아닙니다.)

집중도가 한 쪽에 몰아지기보단, 공등히 서셨으면 좋겠습니다.


9. 자게나 1채에, 분탕러나 욕설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문제.

1채에 공지 써져있었죠. 욕설, 음란에 관한 악행은 분명히 처벌로 남긴다고요.

근데, 큰 분탕과 분쟁같은 경우를 모니터링 하여 처벌하지 않고, 한가하게 널 듯이, 처벌이나 정지시키지 않는 것.

경고하는 것 딱 한 번 봤고, 정지나 처벌시키지 않은 것.
한 번 열었던 입으로, 공약은 지켜주시길 바래요..

10. 버그나 치트, 메크로 같은 불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유저 처벌 X

전의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사용해왔던 프로그램을 모니터링을 하지 않은 것. 
게으름을 피우고, 신고를 접수했단 것이 거의 소수죠.

콜로를 메크로잉하는 분들도 몇몇은 있을 겁니다. 제발 신경써주세요.


11. 진도 정지.

마카라 카코 다음 카드도 출시하라, 스토리 더 만들어라 하는 분들의 이야기가 있음에도 불과하고, 아직 거기서 그 자리입니다.

왜일까요? 이건 저도 묻고 싶네요.

스토리를 읽는 것을 좋아하는 분들을 위해서라도, 아이디어를 짜서 다음 이야기를 개막해주셨음 좋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

아직, 제가 말한 것들 이외에, 많은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이렇게 많은 문제를 해결해주셨음 합니다.

섭종 섭종 외치고 있지만, 전 그걸 바라지 않습니다.

오랫동안 플레이하려고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옛 초심을 되찾아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읽으신 유저분들께는 좋지 않게 보일 수도 있겠지만, 각오는 이미 했습니다. 할 말은 해서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으로, 긴 글을 써봤습니다.

안 좋게 보일 수도 있음에 미리 죄송하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댓글5

    • 상호 : (주)하이브로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432 준앤빌딩 4층 (135-280)
    • 대표 : 원세연
    • 사업자번호 : 120-87-89784
    • 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3212호
    • Email : support@highbrow.com

    Copyright © highbrow,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