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GON VILLAGE

  • 스토어

  • 틱톡

  • 플러스친구

  • 유튜브

  • 인스타그램

자유게시판

  • 드래곤빌리지
  •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유저 프로필 사진

쉴드치러 왔습니다.

8 마음한칸
  • 조회수8041
  • 작성일2024.07.19

중소기업에서 드래곤빌리지1(이하, 듭1)을 유지해주는 것만으로도 칭찬받을 일입니다. 매출액은 오프라인 판매 제외하고 게임으로만 본다면 드컬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드래곤빌리지1 현재 유저 수는 최대로 잡아도 2000명 정도로, 각 유저가 한 달에 약 만 원을 현질한다고 가정하면, 직원 1명의 연봉도 안 나옵니다. 


#하이브로 대졸 초임 3833만원, 직원 수 대략 80~ 86명


공개된 하이브로 재무제표를 보자면


당기순이익


2020ㄴ (-)2억 4560만


2021ㄴ (+)4억 7730만


2022ㄴ (+)1억 1268만


2023ㄴ (+)21억 3000만




매입, 급여, 임대료, 법인세 등 다 차감된 순수 회사에 주어진 수익입니다.


그리고 드래곤빌리지 컬렉션 출시는 2023ㄴ 5월 2일 인데요.

이게 듭m, 드빌 아레나, 듭1이 잘 되서 순이익이 증가한 건가요?



아뇨,


드컬이 성공해서 회사 위기가 넘어간 겁니다.



드빌1은 회사의 첫 성공 작이자 드래곤빌리지 IP 시작인 게임이라 

아슬아슬하게 매ㄴ 넘기면서 유지되고 있는 겁니다.


모바일 업계는 트렌드가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하이브로는 당시

유행하는 게임에 본인들 IP를 넣어 개발해 살아남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데요.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하나의 게임에 인력, 개발비를 모두 집중하기엔 리스크가 너무 큽니다. 따라서 유행하는 게임에 회사 IP를 적용해 단기간 매출을 극대화하고, 다시 새 게임 개발에 투자하는 방향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유저 수가 감소한 게임은 서비스를 종료하고 다른 프로젝트에 다시 인력을 배치하는 방식을 하고 있을텐데요. 다시 말해, 드래곤빌리지1은 계속해서 아슬아슬한 선상에 놓여져 있습니다.


보통 회사가 지속적, 영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수익성이 낮은 부서는 계속해서 쓸데없이 돈 줄이 세가고 있으니 중단하고 수익성이 높은 부서에 집중적으로 투자자원을 늘려야 하는데



대부분의 회사는 이미 듭1 정리하고도 남았습니다.


어떤 회사가 그것도 한 모바일 게임에 10ㄴ 넘게 투자합니까?

고급 인력, 자본이 많은 대기업도 아니고 말이죠.



물 들어오는 듭컬에 힘을 실어주는게 맞습니다.




물론 드래곤빌리지1을 소홀히 해 불만이 있는 건 당연합니다. 


저 또한 오래된 게임이지만, 꾸준히 플레이하는 유저들을 위해 더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너무 맹목적인 비판은 지양해야 합니다.

최근 계속해서 편의성 패치와 또 듭1만의 간담회를 연다고도 하였으니 

분명 개선할 의지는 있다는 점이니 이번 사건도 이번 일을 계기로 공지를 통해

개선하겠다는 입장 표명이 있을 겁니다.

댓글13

    • 상호 : (주)하이브로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432 준앤빌딩 4층 (135-280)
    • 대표 : 원세연
    • 사업자번호 : 120-87-89784
    • 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3212호
    • Email : support@highbrow.com

    Copyright © highbrow,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