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GON VILLAGE

  • 스토어

  • 틱톡

  • 플러스친구

  • 유튜브

  • 인스타그램

소설 게시판

  • 드래곤빌리지
  • 뽐내기 > 소설 게시판

유저 프로필 사진

판타지 소설의 분류와 표현 방법

1 켈리
  • 조회수473
  • 작성일2020.10.12

본 글의 자료의 대한 출처는 나무위키입니다

제목에서 보셨다시피.. 오늘은 판타지 소설에 대해 배울 것입니다, 우선 판타지 소설이 무엇인지 보죠

판타지 소설(Fantasy novel, Fantasy fiction)은 공상, 마술, 상징 등 서구적인 판타지 클리셰들을 주요 소재로 삼는 장르문학이다.-나무위키

이게 판타지라는 장르의 정의입니다, 판타지는 소설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죠

그럼 오늘의 목차는.../1. 판타지 소설의 과거~현재/2. 판타지 소설의 합성/3. 판타지 소설을 잘 쓸 수 있는 방법/ 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1. 판타지 소설의 과거~현재

판타지라는 장르는 소설이 등장한 시절부터 존재한 장르 중 하나죠, 그렇기에 판타지는 시대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

작품의 성격을 나타내는 살아있는 화석과도 같은 표본입니다.

초창기의 판타지는 마술, 공상, 근대 문학의 리얼리즘의 대한 안티테제였습니다, 또한 신화를 재구축한 작품도 있죠

그런 작품들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 중에 우리가 잘 아는 "반지의 제왕"이 있습니다

그럼 근대적 판타지 소설은 무엇일까요?

근대적인 환상 소설의 시초는 낭만주의에 기초한다. 그리고 이에 대해 논하기 위해선 당시 유럽의 상황을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나무위키

여기서 낭만주의란?,

개성이 없는 고전주의에 반발하여, 창작자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기 시작한 문학작품·그림·음악·건축·비평·역사편찬의 특징을 이루는 정신적 자세나 지적 동향. 자유로운 공상의 세계를 동경하기도 한다.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유럽을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위에서 쓴 바와 같이 고전주의와 대립되는 사상입니다

근대적인 환성 소설의 시초가 낭만주의인 것은, 유럽쪽에 뿌리가 있는 것입니다, 그럼 어디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1.1. 18~19세기의 유럽

18세기의 유럽은, 산업화에 시민혁명이 일어서던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19세기의 들어선 새로운 지배자, 나폴레옹이 유럽을 흽쓸고 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시민들은 계몽되었죠.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생긴 일련의 변화가 있는데 그것이 민족주의입니다

잘 압니다.. 저도 역사를 가르치는 건 어렵고, 또 중립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요.. 하지만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이

현대 사회의 문화를 만들었으니, 우리는 그것을 알아야 우리가 쓰는 소설의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지금 글을 쓰는 오니 또한, 나무위키에서 자료를 찾아봅니다)

다시 본론으로 넘어가서.. 기존의 유럽의 모든 국가들은 기독교를 믿고 있었습니다만, 앞서 말한 산업과 계몽사상으로

기독교를 제한된 시선으로 바로보게 되었습니다....만 여기서 더 설명한다면 너무 질질끄는 느낌이 강하기에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https://namu.wiki/w/판타지%20소설 로 들어가셔서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무튼 여러분들이 알아야 할 것은 유럽이 근대의 너무나 빠른 발전으로 옛 것에 대한 향수를 불러 일으켜, 고대 문화의 재발견이라는 신선한 소재로 그들의 경험을 통한 상상력으로 글을 썼다는 것만 아시면 됩니다.

2. 판타지 소설의 합성

판타지 소설은 판타지의 기본을 두고 제작하는 장르입니다, 그런 판타지는 다른 요소와 결합하여 신선한 장르를 만들기도 합니다.

1. 로맨스와 판타지와 결합한 "로맨스 판타지"는 시간여행, 마법약, 종교적 요소등, 나의 꿈과 같은 사랑 이야기를 다루는 장르입니다, 제가 말한 예시들 이외에도 여러가지 요소는 많습니다

2. 호러와 판타지가 결합한 "다크 판타지"는 분위기가 어두운 쪽의 판타지입니다, 주로 뱀파이어, 좀비, 괴물등등이 많이 나옵니다

3. 학원물과 판타지를 결합한 "마법학교물"은 우리가 잘 아는 해리포터 시리즈와 같은 작품입니다

이렇게.. 제가 소개한 장르들 외에도, 여러가지 장르가 있습니다만, 이러한 장르는 무조건 판타지의 요소를 타고났죠

예를 들어.. 로맨스 판타지의 작품 중 하나인 드라마 "도깨비"는 우리나라의 도깨비라는 한국적인 판타지와 로맨스를 섞은 작품입니다, 로맨스 드라마의 틀이긴 하나, 판타지의 구도를 띕니다

또 다크 판타지의 작품 중, 진격의 거인이라는 만화는, 북유럽 신화를 모티브로 띄었고, 거인들이 날띄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섞은 작품이죠(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마법학교물은... 보통 해리포터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굳이 설명을 하지는 않겠습니다, 안 읽어보신 분들도 무슨 느낌이신 지는 알 것이라 믿습니다

3. 판타지 소설을 잘 쓸 수 있는 방법

사실상 이 강의글을 쓴 이유죠, 바로 판타지 소설을 잘 쓸 수 있는 방법입니다.

사실 판타지 소설이라고 다른 소설보다 어렵거나, 쉬울 것은 없습니다

단지 작가의 상상력이 더 필요하다고 말할 순 있습니다

우선 판타지의 세계관 정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판타지라는 장르는 한 세계관에서 끝까지 가는 경우가 많은 장르라서

그러한 세계관을 치밀히 짜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주인공의 초점으로 맞추는 판타지와, 배경의 초점을 맞추는 판타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인물에 배경을 맞추기, 먼저 인물을 구상하고 배경을 맞추는 방식입니다, 다만 소설을 잘 쓰는 분이 아니시라면

그다지 추천드리진 않는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설정충돌이 일어났을때 대처하기가 번거롭기 때문이죠

배경에 인물 맞추기, 배경을 그린뒤 인물을 그리는 방식입니다, 가장 흔하고 평범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문제점이 있는데 캐릭터를 새로 만들때마다 배경의 영향을 받기에 캐릭터를 새로 추가하기 귀찮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을 쓰는 본인 역시 처음엔 소설이 한없이 어렵고, 힘든 시절이 있었지만, 반대로 소설은 쓰다보면

한없이 재밌어지고 매력을 느끼는 문학의 갈래입니다, 지금 이 강의 이후로 원하는 강의가 있다면 댓글로 원하는

강의를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긴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고, 감사합니다. 이상 오늘 강의는 마치겠습니다

댓글4

    • 상호 : (주)하이브로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432 준앤빌딩 4층 (135-280)
    • 대표 : 원세연
    • 사업자번호 : 120-87-89784
    • 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3212호
    • Email : support@highbrow.com

    Copyright © highbrow,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