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본론에 앞서 이 게임의 특징을 말씀 드릴게요:)
1. 등급용이 아닌 경우 캡슐, 각성, 진각성, 초월, 강림 모두 각각 eval이 같다.
예를 들자면, 합라 강림과 파이어강림의 eval이 같음;;
2. 1 때문에 따지고 들면 용보다는 컬렉, 인첸, 젬 순서로 중요하다.
3. 그런데도 고가용이 존재하는 이유는 희소성과 외형 때문이다.
외형은 상대적이므로 보통 희소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쌀먹충이란?
템 팔아서 쌀 사먹는다 라는 표현에서 비롯된 멸칭으로, 게임 플레이를 통해 얻은 화폐/아이템을 현거래를 통해 현금으로 환전하여 생계를 유지하는 게이머, 혹은 그에 준할 정도로 게임 화폐/아이템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유저들을 비하하는 표현이다.
혐사: 혐오+장사꾼
제목의 용어는 이런 뜻입니다.
오...정의만 봐도 딱 각이 나오지요..?
극혐인 이유를 말씀 드릴게요
1. +@빌런
흠..시세가 조금 안 맞는데 +@가능하세요?
@해주면~ 어..너무 쪼개졌는데 다른 건 없으세요?
안 해주면~ 취소+과민 반응
솔직히 시세라는게 유저끼리 적당히 정한 것이고 약간의 차이는 괜찮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기껏+@를 해줘도 쪼개졌다 라거나 0.02정도만 더..이런 식은 좀..그래요///
2. 내로남불
팔 때: 인기 많아요, 앞으로 올라갈거에요, 시세 올랐어요~
거래 사례 말해주면~ 그 분이 급처하신 거에요, 원래 더 비싸요
살 때: 그렇게 비싼건 말이 안됨..., 앞으로 낮아질거에요 물량풀려서..
이래놓고 다시 비싸게 되팔렘~
3. 시세 조작
이건 보기 싫기는 하지만 유저간 논란도 있고... 그냥 넘어갈게요
4. 계정 거래 관련
쌀먹은 사기꾼과 엄연히 다르므로 사기는 패스.
그냥 계정 값을 부를 때랑 팔 때 너무 차이가 납니다.
실례로 제 계정을 1을 부르신 분이 계셨는데...음... 너무 욕 나오니까 패스..
거래하실 땐 꼭 급하게 하지 마시고 천천히 둘러보고 하셔요:)
내용 추가 원하시며 댓에 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