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
이 글은 진짜 처음 시작한 뉴비가 보기에는 매우 힘든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정령을 진짜 처음 배우고, 보는 뉴비라면 아래 드린이님, 정각님의 정령글을 보고 오길 추천합니다. 또한 제가 이 글에서 소개하는 것들은 드빌에서 공식화 해준것이 아닌 저의 경험을 토대로 쓴 매우 주관적인 글입니다. 혹시라도 다른 계산법이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은 댓글을 달아주시면 참고해서 수정하겠습니다. 혹시라도 이 글을 보고 정령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겠다고 하면 그냥 자게에다 정령이 어떠냐고 질문하시길 바랍니다. 어설프게 계산해서 쓸 수 있는 정령을 재료라고 착각하고 갈아버리는 일은 정말로 없길 바랍니다.
https://www.dragonvillage.net/tip/41836 만월님(정령 계산기)
https://www.dragonvillage.net/tip/40898 드린이님(정령보는법)
https://www.dragonvillage.net/tip/41824 Akir정각님(정령학계론)
Capter 0. 정령 이해에 대한 기초
정령은 %와 + 옵션으로 나뉩니다. %옵션은 강화, +는 보완을 해준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또한 부가옵도 +이므로 보완이라고 생각해야합니다. 기본적인 계산기 보는 법을 다루진 않으므로 진짜 계산을 처음 접해보는 사람들은 위에 링크를 들어가셔서 정령 계산 방법을 보고 오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컬렉션이 220 54 54로 바뀌면서 기존 비벨 컷이 530으로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비밸이 낮더라도 1벞일때 균등하게 오르는 세팅이 좋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하나 말해보자면, 이 말은 역배세팅을 밸런스 세팅으로 가져가라는 말이 절대적으로 아닙니다. 제발 착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역배세팅을 밸런스 세팅으로 가져갔을 때 벞당 상승치가 비슷하긴 하지만 역배 세팅에서 벞 받는게 좋은 정령들이 대부분입니다. 비밸이 절대적인 전투력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난 비밸을 믿지 않고 무조건 밸런스만 챙긴다"라는 생각은 버렸으면 좋겠습니다. 비밸을 맹신하는건 좋지 않지만 우리가 수치적으로 전투력을 측정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고 계셨스면 합니다.
Capter 1. 막플정령
막플 정령과 다른 정령의 가장 큰 차이는 4번자리가 플이냐입니다.
처음 접해보는 사람은 올퍼가 좋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증가폭을 고려하였을 때 4번플이 4번 퍼보다 훨씬 높은 효율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막플은 어떤 식으로 계산해야할까요?
Chater 0에서 말했듯 +는 보완의 기능입니다. 그렇다면 4번이 플일때는 그 옵션의 스텟이 적은 용에게 주면됩니다. 즉, 4번자리가 공격이라면 체, 방, 체방형. 방어라면 체, 공, 체공형. 체력이라면 공, 방, 공방에 주는 것입니다. 이제 4번자리 플을 통해서 큰 가지는 정해졌습니다. 이제 1,2,3번 자리를 봐야합니다.
큰 가지는 2가지로 나누어 진다. 먼저, 1,2,3옵션이 모두 다른 경우입니다. 이 경우를 보통 극막이라고 칭합니다.(물론 극강의 막플은 아닐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공체방체 정령이 있다고 해봅시다. 공, 체, 방이 모두 있고 막플이 체력인 상태입니다. 그러면 공, 방, 공방 용에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막플이 체력이므로 장신구와 인첸트를 통해서 공격과 방어 스텟을 보완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가장 좋은 장신구는 방보주 공첸이거나 공보주 방첸이 됩니다. 이제 모든 스텟이 버프 받았습니다. 이때는 대부분 3번쪽을 따릅니다. 뭔 소리냐고 하면 위 정령 같은 경우에는 3번 자리가 방어입니다. 그래서 방어형을 주고 방보주 공첸을 줄 경우 가장 잘 나옵니다.
막플 같은 경우에는 정말로 aaab 형태가 아니라면 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aaab형태가 530을 넘지 못한다? 그건 아닙니다. 단지 다른 막플에 비해 안나오는 것 뿐, 쓸 수는 있습니다.
Capter 2. 유사막플
유사막플은 말 그대로 유사한 막플입니다. 4번이 플이면서 1,2,3중 하나가 플인 정령을 유사막플이라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유사막플은 막플과 다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유사막플은 어떻게 계산해야할까? 두가지로 나뉩니다. 첫 번째는 플이 모두 같은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공방체공(1,4플)인 정령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에는 플러스가 모두 공격을 보완해주고 있으므로 막플과 비슷한 상황입니다. 즉, 플러스가 같은 경우에는 막플처럼 계산해주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플러스가 서로 다를때다. 앞에서 말했듯 정령 옵션에서 +는 보완하는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렇다면 간단합니다. 기본적으로는 플과 곂치치 않는 용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보죠.
공체방체(1,4플)인 정령이 있다고 가정해보죠. 이 정령이 만약에 막플이였다면 방어형을 주고 여보주 공첸을 줬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체력이 플이고 공, 방을 보완해야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지금은 공, 체가 보완이 된 상태입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방어를 보완하는 걸 우선시 생각해야 하고, 그 다음에 공격을 올리든 체력을 올리든 해야합니다. 그래서 이 정령 같은 경우에는 대뿔 방공에 방첸을 해서 방어를 올리고 대뿔 방공의 공격으로 공격을 증폭시키는 방식을 씁니다.
위에서 계산한 막플과는 1번이 플로 바뀐 것 밖에 없는데 수치가 많이 차이가 납니다. 그걸 염두해두고 계산하셔야합니다. 유사 막플은 막플과 비슷할뿐, 절대적으로 막플이 아닙니다.
Capter 2.5 역배
막플 혹은 유사막플로 밸런스 계산을 했을 때 비벨이 이상하게 안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대부분 정령 자체를 역배로 계산해야하는 경우입니다.
그렇다면 역배는 무엇일까요?
역배는 체, 공, 방중 하나가 지나치게 높은 배치를 말합니다. 이렇게 들어서는 감이 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죠. 위의 정령은 2,4 유막으로 1,3에는 공격옵션만 존재합니다.
이 정령을 밸런스 맞춰서 준다면 493정도 나오는 흔히 말하는 "재료" 정령입니다. 하지만 이 정령을 공격능력치를 가중해서 준다면 어떻게 될까요?
비밸이 그래도 530이 넘는 정령이 되었습니다. 지금 보면 밸런스보다 공격에 몰빵한 상태가 비밸이 더 잘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역배를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바로 퍼센트 옵션에 같은 능력치가 2개 이상이면 됩니다.유사막 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 벞을 받을때 막플을 뛰어 넘는 정령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장신구는 보통 퍼옵션의 장신구를 따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만, 이 경우에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이기 때문에 확답을 할 수가 없습니다. 역배가 있을 때 자신이 계산하기 힘들다면 자게나 주변 정령 계산을 잘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는 걸 추천합니다. 역배는 케이스를 많이 봐서 직감적인걸 키우는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공격옵션이 많으면 레이드 딜러도 고려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Capter 3. 올퍼
말 그대로 1,2,3,4옵션이 퍼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올퍼는 체, 공, 방 옵션이 모두 있는 정령만 쓸 수 있습니다. 올퍼의 특징은 모든 타입에 잘 맞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통 올퍼는 저점이 높고 고점이 낮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렇다면 장신구는 어떻게 줘야할까요? 장신구는 간단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보죠.
공방체공 옵션을 가진 정령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정령은 공격 옵션이 두개이므로 방, 체 옵션을 보완해줘야 합니다. 그렇다면 방보주 체첸을 해주거나 체보주 방첸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렇게 체공방 모두의 퍼센트를 올려줬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해야할 것은 타입을 정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올퍼는 무슨 타입을 줘도 된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자면 줄 정령은 한정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게 무슨소리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시 들어준 정령 같은 경우에는 공격형을 주는게 가장 좋은 정령입니다. 그 이유는 먼저 기본 정령에 공격 2개가 달려있어서 공격을 올리기에는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젬으로 커버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건 가장 좋다일뿐 필요한 타입에 박아 넣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내가 방어가 부족하다라고 하면 방어에 넣고 체력이 부족하다라고 하면 체력에 넣으면 됩니다. 그렇다면 젬 배치는 어떻게 될까요? 젬 배치는 토너 배치를 쓰시면 됩니다. 토너 배치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체력형은 023 혹은 032 공격형은 203 방어형은 230 체공형은 113 혹은 014 체방형은 140 혹은 050 공방형은 311 혹은 221입니다. 정령 옵션마다 약간씩 변동은 있을 수 있지만 올퍼를 다룰때는 위의 젬 배치를 먼저 넣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Chaper 4. 기본적인 단독플 계산
공통 : 플 있는 것은 장신구 혹은 인첸에서 최대한 제외
ex) 방방체공 (1번플)이라고 가정했을 때, 장신구는 방어옵션을 제외한 악보주 공첸, 공보주 체첸을 줍니다. 또한 뿔 종류일 경우 방어 옵션이 메인인 대뿔은 피합니다
용의 경우 막플 처럼 플이 메인으로 들어가 있는 경우는 피해야합니다. 다만, 공격이 플일 경우 가장 높은 것은 체공일 확률이 높지만 공방형도 체공형처럼 높게 나온다(막플과 가장 큰 특징)
위의 예시에서 가장 높은 것은 악보주 공첸
1번이 플일 경우
위의 계산과 동일하며 1,2번의 옵션이 같은 것이 가장 높게 나옵니다. 그리고 부가옵 같은 경우 플하고 같은게 가장 잘 나옵니다.
2번이 플일 경우
위의 계산과 동일하나 하나 알아둬야 하는 점은 뿔을 쓸때입니다.
위의 예시에서 2번이 플이라고 가정해보죠. 이때 가장 높은것은 보주지만 뿔에서 가장 높은것은 불뿔 체첸입니다. 그 이유는 2번이 플 옵션이기 때문입니다. 1번이 플인 경우 로스가 많이 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2번이 플인 경우 그 체감은 생각보다 많이 나는데, 2번이 플이기 때문에 체력 인첸(비벨)을 이용해서 체력을 높이고 본 장신구에서 공격을 더 챙긴다는 마인드를 가져야합니다.
3번이 플일 경우
위의 계산과 동일하나 37젬 16보주 기준으로 540이 대부분 넘지 않습니다. 3번 플인 경우에는 대부분 뿔에서는 1,2개 밖에 쓸 수 없으며 정령이 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고려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평균적으로 1번 플일 경우 550 2번 플일 경우 542 3번 플일경우 538 정도 나옵니다.
마치며.
드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하나 꼽으라고 한다면 대부분 "정령"이라고 답할 것입니다. 그만큼 드빌에서 정령은 상위 길드를 들어갈 수 있을만큼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을 보면서 정령에 대한 기본부터 심화까지 배우길 바랍니다. 장문의 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처음 글 쓰는거라 오타, 예삿말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재미있게 드빌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