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퀴즈 인공신경망기술(very hard) warning-(독해력이 뛰어나신 분들을 위한 문제입니다.)
Coding
모의고사 문제 변형(2017 학년도 6월 모평 발췌)
인간의 신경조직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컴퓨터가 인간처럼 기억 학습 판단할 수 있도록 구현한것이 바로 인공신경망기술이라고 한다. 신경의 기본조직단위는 뉴런인데 인공신경망기술에서는 뉴런의 기능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퍼셉트론을 기본 단위로 삼았다.
퍼셉트론은 입력값(학습데이터)들을 받아들이는 여러개의 입력단자와 이 값을 처리하는 부분,처리된 값을 내보내는 출력단자로 구성되어있다. 퍼셉트론은 각각의 입력단자에 할당된 가중치를 입력값에 곱한 후 구한값들을 모두 합하여 구한후 고정된 임계치보다 작으면 출력값0 고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1을 내보낸다.
인공신경망의 작동은 크게 학습단계와 판정단계로 나뉜다. 학습단계는 입력단자에 학습데이터를 입력층의 입력단자에 넣어주고 출력층의 출력값을 구한 후 이 출력층의 출력값과 정답에 해당하는 값의 차이를 줄인다. 학습데이터와 함께 주어진 정답값에 출력값을 빼면 오차값이 나온다. 이 오차값의 일부가 출력층의 출력단자에서 출력층에서의 입력값의 가중치에 더해져 가중치들이 갱신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해서 수행하면 출력값은 정답에 수렴하게되고 판정성능은 좋아진다. 오차값이 0이거나 더 이상 가중치가 갱신이 안되면 판정단계로 넘어간다.
고대신룡은 A와 같은 퍼셉트론을 B조건을 이용하여 학습시키고자 한다.
가상의 퍼셉트론A는 오차값이 각각의 가중치에 일부만 더해지지 않고 오차값의 전부가 각각의 가중치에 더해진다고 한다.입력값=학습데이터
A퍼셉트론
입력단자(a,b,c,d)
a,b,c,d의 가중치는 0,0,0,0이다
가중합이 임계치500보다 작으면 0 크면 1을 출력값으로 내보낸다.
B
a,b,c,d의 학습데이터는 각각 10,10,10,10이다.
학습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는 정답1이다.
이때 A라는 퍼셉트론은 최소 몇번 학습시켜야 가중치가 갱신이 안될까?
모의고사글을 발췌한 경우는 출처를 명확히 밝히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문제는 완전히 기본의 틀에서 새로운 문제로 바꿨습니다.